후원하기

장애인 교육권 둘러싼 사회적 인식 재고 실패의 역사, ‘특수학교 설립반대’의 토양 됐다

작성일
2019-05-20
첨부파일

장애인 교육권 둘러싼 사회적 인식 재고 실패의 역사, ‘특수학교 설립반대’의 토양 됐다

 

2019 한국장애학회 춘계 학술대회 “우리 삶의 기록, 장애 역사를 말한다” 개최
“의무교육 관점 아닌 사회적 조건 속에서 미봉되어온 장애인 교육권...성숙한 논의 필요”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 상황이 한국사회에서 반복되고 있다. 아직도 장애아 교육권 보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은 이유를 역사학적으로 검토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2019년 한국장애학회 춘계학술대회가 17일 오후 1시부터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진행됐다. 이번 춘계학술대회 주제는 ‘우리 삶의 기록, 장애 역사를 말한다’로, 장애역사 기록과 발굴의 의미를 학술적으로 논의했다. 

 

춘계학술대회 첫 번째 발표는 소현숙 일본군 ‘위안부’ 문제연구소 연구팀장이 맡았다. 소 팀장은 한국 의무교육제도 도입과 장애교육의 발전 역사를 분석해 현재 한국 사회에서 장애아 교육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게 된 경로를 분석했다. 

 

17일 오후,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한국장애학회 춘계학술대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 최한별
 

의무교육 제도 확대로 국민학교는 다녔지만...중학 입시부터 '차별적 인식', '체능검사'에 가로막힌 장애학생들

 

한국에서 의무교육 제도 도입 노력이 본격화된 것은 해방 직후 미군정 하에서부터였다고 소 팀장은 전했다. 이에 따라 헌법과 1949년 공포된 교육법에 초등 의무교육이 조문으로 명시되었다. 문교부는 1950년 의무교육 6개년 계획을 세우고 의무교육 보급에 착수했다. 전쟁 직후, 교육 재정 부족과 인프라 미비 등으로 상황은 열악했지만, 취학률은 급격히 증가해갔다. 1945년 해방 당시 초등학교 취학률은 64%였는데, 의무교육이 실시된 지 10년도 되지 않은 1959년에는 93.6%를 기록했다. 

 

한국에서 근대적 의미의 장애아 교육은 일제 식민지 시대 맹·농교육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당시 맹·농교육을 담당했던 평양맹학교나 제생원은 교육부가 아닌 보건부 소관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 장애아 교육은 의무교육 제도 도입 과정에서 진전을 맞이해 교육법 143~145조에 특수교육 대상자와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규정을 명시하게 되었고, 맹·농학교 역시 보건부에서 교육부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장애아 취학률은 비장애아 취학률보다 현저히 낮았다. 1960년 한국아동복리위원회 조사 통계에 따르면, 전체 장애아동 중 특수학교에 취학한 아동은 전체의 1.4%, 일반 국민학교 취학률은 28.6%에 불과했다. 전쟁과 1950~60년대에 한국에서 유행했던 소아마비로 인해 장애아 수가 늘어남에 따라, 한국전쟁 직후부터 1960년대까지 장애아 교육 문제가 사회적으로 가시화되었다. 

 

소 팀장은 “그러나 의무교육의 확대와 더불어 지체장애를 가진 자녀를 매일 업어 6년간 한 번도 학교 수업에 빠지지 않을 수 있게 지원한 부모들의 미담이 다수 보도되면서, ‘어려움을 이겨내면서라도 장애아 역시 교육받을 가치’가 있는 존재라는 생각을 대중에 유포시키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민학교를 졸업하는 장애아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장애아 교육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국민학교를 졸업한 장애아들이 중학교 문을 두드리게 되자 1950년대 후반부터 장애아의 중학교 입학 문제가 사회 문제로 가시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소 팀장은 대표적인 사례로 1964년, 배문중학교에 응시한 조아무개 학생이 ‘발을 저는 탓’으로 면접에서 입학을 거부당해 결국 불합격 판정을 받은 사건을 들었다. 당시 배문중학교 모집정원은 480명이었으나 지원자는 1/3에 미달하는 136명에 불과했음에도, 조아무개 학생이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불합격한 것이다. 

 

당시 장애학생 입학 허용 여부는 중학교 교장 재량권에 달려 있었다. 1961년 10월~11월 사이 경향신문에서 연재한 기사에서는 장애학생 입학허용 여부에 대한 각 중학교의 입장이 나타난다. 소 팀장은 “이 내용들을 보면, 적지 않은 학교들이 장애학생 입학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적극적으로 ‘장애아를 차별하지 않고 입학을 허용하겠다’고 밝힌 경우는 전체 30개 학교 중 다섯 학교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대다수의 중학교들이 장애아 입학 거부 근거로 든 것은 ‘수학 상 지장이 있다’는 것이었는데, 어떤 장애가 ‘수학 상 지장이 있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이 ‘애꾸눈’, ‘색맹’, ‘곰보’ 등도 입학 불허 대상자가 되기도 했다. 

 

내용전부보기: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3430&thread=04r06

원문출처: 비마이너

 

공지사항 리스트
번호 제목 작성일
공단 고용개발원, ‘발달장애인을 위한 알기 쉬운 마음건강 지키기’ 자료 개발... 2024.01.16
2024년에 달라지는 보건·복지 정책 2024.01.02
1168 밀알복지재단·IBK기업은행, ‘성인 발달장애인 작가 육성 프로젝트’ 참여자 모집... 2024.03.28
1167 장애인개발원, ‘제6회 유니버설디자인 아이디어 작품’ 공모 2024.03.25
1166 복지부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사업’ 6월 시행 2024.03.19
1165 장애·비장애 음악 축제의 장 ‘모두뮤직페스타’ 19일 개막 2024.03.14
1164 ‘제33회 장애인고용 콘텐츠 공모전’ 내달 12일까지 작품 접수 2024.03.13
1163 SK행복나눔재단, 휠체어 운동 프로그램 참여 아동‧청소년 모집 2024.03.12
1162 서울시, ‘저소득 장애인 주거편의 지원사업’ 100가구 모집 2024.03.11
1161 초록여행, ‘5월 패키지·경비여행’ 참여 장애인 가정 모집 2024.03.04